이 글은 책의 요약본이 아닙니다. 책을 읽으면서 보충해야 할 내용이나 이상한 내용, 그리고 연습한 결과들을 올려 놓은 것입니다.
Brush 의 Grain 이해하기
책에는 canvas 의 paper 속성에 대해서 언급만 하고 있지 실제 이것이 어떤 식으로 반영되는지에 대한 언급이 없어서 test 해 보았다. 일단 어떤 brush 를 선택하면 상단의 brush option 에 grain 이라는 항목이 존재한다. Grain 은 '결' 이라는 의미이다. Brush 가 얼마나 표면의 거침을 반영할 것인가를 반영하는 option 이다. 이것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같은 brush 라고 해도 다른 느낌으로 칠하는 것이 가능하다.
그런데 모든 brush 가 grain 을 적용한 결과가 제대로 반영되는 것은 아니다. 그것은 나중에 설명하도록 하고 일단 수채화 관련 brush 를 선택해 보도록 하겠다. Test 용 canvas 는 300 dpi 800 * 600 이다.
먼저 brush 를 [ Real WaterColor >> Real Wet Bristle ] 로 선택한다. 우리말로 하면 [ 수채화 >> 실제 젖은 짧은털 붓 ] 정도 되려나.. 한글판을 안 봐서 모르겠다.
그리고 색상은 RGB 기준으로 ( 255, 0, 0 ) 인 red 를 선택한다. 그리고 brush 의 투명도는 50 % 로 한다. 그리고 나서 grain 을 0 에서 100 까지 5 단계로 나눠서 칠했다. 오른쪽으로 갈 수록 점점 결이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11B8D355221E6D718)
그림1. 수채화에서의 종이결.
그런데 아크릴 종류는 paint 가 떨어질 때쯤 되어야지 결이 보이기 시작한다. 다음은 [ Acrylics >> Clumpy Brush ] 와 [ Acrylics >> Grainy Dry Brush ] 로 확인해 본 것이다. 역시 "Grainy" 가 들어 간 것만 결이 보인다. 좀 이상한 것은 100 % 일 때 결이 덜 보인다는 것이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678BF335221E9AA23)
그림2. 아크릴에서의 종이결.
책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"Grain" 이 들어 간 것들이 아니면 결이 나오지 않는다.
Alpha mask 에 대한 이해
Painter 의 alpha mask 는 요새 Photoshop 식의 alpha mask 에 익숙해져 있는 사람들에게는 매우 헷갈리는 개념이다. Alpha mask 의 특성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서 초반에 엄청 헤맸다. 아무리 해도 원하는 대로 동작하지가 않았기 때문이다.
Painter 의 alhpa mask 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전제를 이해해야 한다.
- Painter 의 alpha mask 는 layer 당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 image 에 대해서 동작한다.
- Painter 의 alpha mask 는 masked area mode 와 selected area mode 가 있다.
- Masked area mode : 하얗게 칠한 부분이 masking 된다.
- Selected area mode : 검정색으로 칠한 부분이 masking 된다.
- Painter 의 alpha mask 는 자체 color 와 opacity 를 포함한다.
- Color : Alpha mask 가 적용될 때 masking 되지 않은 영역에 곱해질 색상.
- Opacity : Alpha mask 가 적용될 때 masking 되지 않은 영역에 곱해질 투명도.
자 여기까지 보면 어떤 생각이 드는가? Painter 처음 사용하는 사람은 어떤 식으로 사용해야 할지 감이 잘 안 올 것이다. 그냥 단순히 이렇게 생각하면 된다. Painter 의 Alpha mask 는 전체 image 에 대해 적용되는 단색만 칠해진 layer 인데, 적용 순서는 무조건 위에서 아래쪽이며 순서를 바꿀 수는 없다.
자 이제 사용하는 법을 익혀 보도록 하겠다.
먼저 어떤 그림이 그려져 있다고 가정한다. 나같은 경우는 그냥 검은색을 전부 칠했다. 어차피 어떤 식으로 빵구가 뚫리는지 보려고 하는 것이기 때문에 화면만 채워져 있으면 된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342903352229E392C)
그림 1. 배경화면 채우기.
이제 일반적으로 Photoshop 을 사용하는사람이라면 여기에서 layer 를 하나 생성한 다음에 위쪽에다가 다른 색상을 넣은 다음에 alpha 값을 설정하려고 할 것이다. 하지만 Painter 는 두 가지 방식으로 alpha mask 를 생서한다. 첫 번째는 [ Channels ] 탭에서 가장 아래에 있는 plus 모양 button 을 누르는 것이다. 그것은 새로운 alpha mask channel 을 생성한다. 그러면 누르자 마자 다음과 같은 결과를 볼 수 있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31C9B4252229F990A)
그림 2. Alpha mask channel 생성.
이제 여기에서부터 엄청난 혼란이 오기 시작한다. 필자는 처음에 저 붉은 색이 helper 를 보여 주고 있다고 생각했다. 하지만 실제 image 에 반영되는 색상이다. 저기 [ Channels ] 에 있는 channel 들이 절대 layer 당 존재하는 것이 아님을 잘 기억해야 한다. 이게 처음에 반투명한 붉은 색으로 나오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.
- "Alpha 1" channel 의 [ Color ] 가 red 이다.
- "Alpha 1" channel 의 [ Opacity ] 가 50% 이다.
- "Alpha 1" channel 의 [ Color Represents ] 가 [ Masked Areas ] 이다.
이를 확인하려면 해당 channel 에서 우클릭해 context menu 를 띄운 다음에 [ Channel Attributes... ] 이라는 item 을 선택한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369D3375222A18201)
그림 3 : Alpha mask channel 특성창.
[ Masked areas ] 로 되어 있기 때문에 검정색이 차지하는 부분이 전부 보이는 것이다( 초기값은 검정색으로 전부 칠해져 있다 ).
이제 여기에다가 [ Selected areas ] 를 하나 더 추가 하는데 이번에는 선택 도구를 이용해 보았다. 일단은 화면에 선택영역을 만든다. 그리고 나서 [ Channels ] 아래에 있는 화살표 아래 버튼을 눌러 주면 새로운 channel 을 생성할 수 있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479683B5222A35D30)
그림 4. 선택 영역에서 alpha mask channel 만들기.
자 이렇게 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된다. 보면 알겠지만 선택 영역 바깥은 alpha 값이 좀 더 빠져서 더 붉어지고 선택 영역 안은 그대로 이다. 왜냐하면 초기에는 mask 가 [ Masked Areas ] 로 생성되어 있기 때문에 흰색으로 칠해진 부분( 선택영역 )이 배제된 것이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37850405222A44932)
그림 5. 선택 영역에서 alpha mask channel 만든 결과.
이제 이것을 [ Selected Areas ] 로 변경하고 색상을 흰색으로 바꾸고 불투명도를 100% 로 설정해 보자. 그러면 우리가 원하는 결과는 선택 영역이 있는 부분만 하얗게 나오고 그 외의 부분은 예전 그대로 나오는 것일 것이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11018415222A53D01)
그림 6. "Selected MAsk" channel 의 특성 변경.
그러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온다. 원하는 결과가 맞는가? 아 그리고 참고로 지금은 계속 선택 영역을 남겨 두고 있는데 이미 channel 이 생성된 상태이므로 저 선택영역은 지금의 masking 작업과는 관계가 없다. 그냥 귀찮아서 안 없앤 것이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23772465222A60730)
그림 7. 최종 결과.
이제 Painter 의 alpha mask 를 어느 정도 이해하게 되었을 것이라 믿는다.